제단에서 늘 빛나는 빨간 성체등 옆 감실에 모셔져 있는 성체(주님의 몸)를

생각하며 우리는 주님과 마음속으로 대화하며 조용한 기도를 드린다.

성체의 형상 안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현존하신다는

믿음을 갖고 있지 않은 신자는 없을 것이다.

 

신자는 기회 있는 대로 성체조배를 해야 한다고 하신

교황 바오로 6세는 “지상에서 이보다 더 큰 위안이 없으며,

성스러움으로 나아가는 데 이보다 더 큰 효력은 없습니다.”라고

성체조배의 중요성과 가치를 역설하셨다.

한국천주교  성체조배회는 성체께 흠숭을 드리는 신심 단체로서,

현시된 성체 앞에서 거룩한 침묵 중에 지속적으로 성체조배를

고리 사슬처럼 이어가는 기도 사도직 단체다.

 

코로나 19로 인해 3년간 이어오지 못한

부산교구   성체조배회 피정을 '23. 06. 05 (월) 에

주교좌 성당인 남천성당에서 많은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항리에 피정행사를 마쳤다.

성체조배

묵주기조

성당을 가득 채운 성체조배회 참가자들

 

3시간 동안 '기도의 10가지 조건'을 주제로 영강하신 권지오(프란치스코) 신부

점심식사

 

오후 2시간을 열강하시는 권지오 신부님

파견미사

미사 공동집전 지도신부단 입장

송제호(야고보) 대표지도 신부의 인사와 시직기도

독서

복음선포

주례신부님 강론

 

성체조배회 초 봉헌 

 

 

미사예물 봉헌

영성체 예식

 

영성체

 

남천성당 정원의 성모자상

 

교구청과 화단의 성모자상

 

천사유치원 정원의 성모자상

 

 시작가의 유명시 

 

 

 

오륜대 순교자 성지는 부산에서 순교하신 8분의 '부산 순교자 묘소'와

한국 순교 성인 103위중 26위의 유해를 안치한 '순교자 성당이 있다.

 

 부산에서는 1860년 병인박해에 이어 1868 무진년 8월 4일(양력 9월 20일)

동래 지역의 회장이었던 이정식 요한과 그의 가족들,

그리고 이정식의 대자 양재현 마르티노를 비롯하여

함께 옥에 갇혔던 여덟 분의 신자들이

수영 장대에서 군문효수의 극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그 후 명장동(동래구 명장동 산 96)에 묻혀 있던 

이정식 요한 회장의 가족 네 분의 무덤만이 조사 확인되어,

1977년 9월 19일 이곳으로 이장하여 '부산 순교자 묘소'로 꾸몄다.

현재에는 네 분의 무덤 외에 다른 네 분의 무덤이 가묘로 단장되어 있으며,

특히 이정식 요한과 양재현 마르티노는

2014년 8월 16일 복자 품에 올랐으며

언젠가는 부산 교구의 성인으로 공경을 받게 될 것이다.

1982년 9월에 개관된 '한국 순교자 기념관'이 2009년 3월부터

1종 전문 박물관으로 승격되어 순교자들의 유물과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다.

부산교구는 2013년 수녀회로부터 관리 권한을 넘겨받아

'오륜대 순교자 성지'로 명명하고 새롭게 성지 정비 사업을 시작하였다

 

 

 

 

 

 

 

십자가의 길이 끝나는 곳의 야외미사장의 제대 뒷편의 성모동굴

야외미사장 옆에서 자리를 잡고있는 길고양이

성부자상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전국이 혼돈이 빠진 이 시기에

가까운 성지를 찾아가 기도하며 위안을 찾는 것도 다행이다. 

 

'Catholic > 국내 성당 및 성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톨릭목포성지  (0) 2023.05.22
부산가톨릭합창단의 수난음악회  (0) 2023.04.05
광양성당  (0) 2023.02.09
살티공소와 살티순교성지  (0) 2020.03.21
김범우 순교자 성지  (0) 2020.03.20
한국순교복자빨마수녀회 순교자 현양미사와 유해안치식  (0) 2019.09.29
미리내 성지  (0) 2019.06.11
죽산순교성지  (0) 2019.06.11
양산 무아의 집  (0) 2019.04.01
여사울(Yeosaul Holy Ground)성지  (0) 2019.02.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