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촌마을의 여러 모습들

 

 

반월성의 소나무들

 

안압지 제 2,3 호 건물

아내의 은사님과 선배 5분이 부산으로 여행을 와서

첫날 날씨가 나쁜 중에도 시내 관광 후 다음날

경주로 여행을 가 불국사, 안압지, 대능원을 둘러봤디.

천마총에서는  문화재 전문해설사의 설명을 들었다.

 

UN 기념공원 명패와 정문건물

 

기념공원 전경

UN기와 참전국기 게양대

 

기념공원 해설관

 

수영만 매립지 고층 아파트 군과 누리마루 내부 정상 회의장

불국사

불국사는 경상 북도 경주시 동쪽 토함산에 있는 사찰창건,

고려 시대 역사책《삼국유사》에  이 절은 신라 경덕왕  751년에 김대성이 세웠다.

그러나 불국사의 내력을 적은 《불국사 역대 고금 창기》에 따르면

이 절은 528년에 창건했다고 전한다.

574년에 진흥왕의 어머니인 지소 부인이 절의 규모를 크게 늘렸고,

751년에 낡고 규모가 작았던  절을 당시의 재상 김대성이 크게 다시 지었다고 전한다. 

 

그 후 여러 차례 증축으으나 규모가 2,000여 칸으로 커졌으나,

임진왜란 때인 1593년에 왜군에 의하여 건물이 불타 버렸으나

금동 불상과 옥으로 만든 물건 그리고 돌로 된 다리와 탑만이 불에 타지 않았다.

왜군의 방화로 불타 버린 불국사의 목조 건물들은 광해군 때인 1612년에

· 남행랑 · 범종각 등이 복구되었고,

인조 때인 1630년에 자하문, 1648년에 무설전이 다시 세워졌다. 

 

1659년에 대웅전이 세워지는 등, 순조 때인 1805년까지 40여 차례의 복원 공사로

안양문 · 극락전 · 비로전 · 관음전 · 나한전 · 시왕전 · 조사전 등이 다시 세워졌다.

 

 조선 말기에 나라의 힘이 약해지자 복원 공사도 중단되었고,

이미 세워졌던 건물들도 낡고 파손된 상태로 방치되다가 일제 침략기를 맞았다.

 

1924년에 대규모의 보수 공사를 하면서 다보탑을 해체 · 수리하였다.

그 때 탑 속에서 금동 불상 · 사리 장치 등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으나

행방 불명되었고, 관련된 기록 자료도 모두 없어져 버렸다.

후 1970년부터 1973년까지 대대적인 복원 공사를 하였다.

이 때 여태까지 옛 터로만 방치되어 오던 자리에

무설전 · 경루 · 관음전 · 비로전 · 화랑 등이 복원되고,

대웅전 · 극락전 · 범영루 · 자하문 등이 새롭게 단청되었다.

불국사 경내 면적은 38만 8,570㎢이며, 사적 및 명승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경내에 국보급을 비롯한 많은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다.

그 중 잘 알려진 문화재로는 국보 제20호 '불국사 다보탑'을 비롯해

국보 제21호 '불국사 삼층 석탑'(석가탑),

국보 제22호인 '불국사 연화교 칠보교’, 국보 제23호인 '불국사 청운교 백운교',

국보 제26호인 '불국사 금동 비로자나불 좌상',

국보 제27호인 '불국사 금동 아미타여래 좌상',

보물 제61호인 '불국사 사리탑' 등이 있다.

 

국보 제23호인 '불국사 청운교 백운교',

 

국보 제 20호와 21인 다보탑과 석가탑(3층석탑)

 

국보 제 20호 다보탑

 

 국보 제21호 석가탑(3층석탑)

 

대웅전과 석등

대웅전 안에 국보 제26호인 '불국사 금동 비로자나불 좌상', 

제27호인 '불국사 금동 아미타여래 좌상'이 안치돼있다.

가까운 곳의 연화칠보교(국보 제22호) 와 뒤의 청운교 백운교

 

안압지

신라 왕궁의 후원으로 삼국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조성되기 시작하여 674년에 완성되었다.

1975~86년의 발굴조사에 의해 유구가 밝혀졌는데 연못을 둘러싸고 있는

석축호안과 서쪽 호안변에서 5개의 건물지가 발견되었다.
부정형의 석축호안은 서쪽 호안선만 직선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 호안은 굴곡이 심한 곡면을 이루고 있다.

입수구는 동쪽과 서쪽의 호안이 만나는 곳에 설치되어 있고 출수구는 북쪽 호안에 있으며,

연못 안에는 3개의 섬이 있다.
연못의 바닥에서 목선·목상·장신구·주사위 등과

불교미술품인 불상, 광배, 보상화문전 등 다수가 발굴되어

번성했던 통일신라시대의 문화를 보다 총체적으로 복원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월지의 연꽃

 

천마총과 배롱나무꽃

 

대능원의 소나무 숲길

벚꽃이 거의 떨어지고 새잎이 나는 시기라 아쉬움 속에 경주에 가다.


대능원 출입문과 대능원의 소나무 숲


천마총



안압지


분황사 모전석탑 

--원래 9층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3층만 남아있는 국보 30호인 벽돌로 쌓은 탑

탑 입구와 탑을 지키는 사천와 석불들


분황사 앞 구황동 당간지주

아직 꽃잎이 남아있는 분황사 앞 도로의 벛꽃 길


석굴암 전실의 모습

석굴암에서 바라보는 동쪽의 풍광 -- 일출촬영 명소이기도 함.

초파일 연등이 촘촘히 매달린 석굴암 부속 사찰 마당.


연화칠보교


청운교 백운교

불국사 대웅전 동쪽에 다보탑, 서쪽에 석가탑이 자리하고 있다.

다보탑

 대웅전 본존불을 볼수 있는 대웅전 정면의 석등과 다보탑

연화칠보교와 청운교백운교가 아름답게 조화된 불국사 사진 촬영 최고의 포인트


보문정 작은 연못에 떨어진 벚꽃잎




보문호반의 벚꽃길



'국내여행 사진 > 국내 테마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주 부석사  (0) 2017.05.15
춘천 남이섬  (0) 2017.05.01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0) 2017.04.30
여주 신륵사.  (0) 2017.04.30
동기생 추억여행 - 세중대왕릉 (영릉)  (0) 2017.04.30
부산 시내 관광  (1) 2017.04.18
순천만 생태공원  (1) 2016.12.06
순천만 국가정원  (0) 2016.12.05
순천만 국가정원  (0) 2016.12.05
진해해양공원 -- 솔라파크  (0) 2016.08.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