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바구’는  ‘이야기’라는 뜻의 경상도 사투리로 

 부산 근현대 역사의 씨앗이 동구 곳곳에서 이야기꽃으로 피어난 ‘이바구길.’

부산 최초의 근대식 물류창고였던 ‘남선창고’부터

층계마다 피란민들의 설움이 밴 ‘168계단’,

영화 한 편으로 울고 웃게 했던
‘범일동 극장트리오’, 가냘픈 어깨로 부산의 경제를 지탱했던

신발공장 여공들의 발길이 오가던 ‘누나의 길’까지 이바구길은
근현대 부산의 옛 기억이 고스란히 스며있는 곳이자,

역동적인 세월을 깊이 받아들인 동구의 상징적인 자취이다.

 

뿐만 아니라 지금은 낯선 여행객들의 정감 있는 쉼터가 되어

‘이바구충전소’와 ‘까꼬막’, 막걸리 한잔과 따스한 국밥 한 그릇으로

애환의 그 시절로 돌아가게 하는 ‘6·25 막걸리’와 ‘168도시락국’ 등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로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시간의 가교’이기도 하다.

 

 

이바구길의 시작점인 초량초등학교와  담벽의 이야기 내옹과 사진자료들

 

 

1953년 11월 27일에 부산 중구 일대에서 벌어진 화재 사건으로 소실된 부산역 옛역사 그림

 

모노네일 하부기계실

 

오르내리기 힘든 168계단과 옆에 설치된 모노네일

경사가 심해 오르내리기 힘든 168계단

 

이바구길 전망대에서 본 부산의 여러 모습들

영도 고갈산과 북항대교

이바구길 모노네일 -- 자주 고장이 나는 모양이라 주민들의 불만이 많은듯.

오늘도 운행정지 수리하는데 여러날이 걸릴것이라는 담당자의 말

가파른 계단 옆에 개화가 시작된 복사꽃

 

 

 

 제64회 현충일을 맞아 미리 2019. 06. 05. 오전에

7산회원 7명이 충혼탑을 참배하고 

맞은 편에 위치한 민주공원과 광복기념관을 참관했다.

 

충혼탑

꼬마 참배객들의 헌화

충혼탑 아래 돔 건축물 안의 6.25 전쟁 중 영남지방 전투에서 산화한 국군의 명패와 분향시설

충혼탑 앞의 국군들의 동상

 

충혼탑에서 바라본 중앙공원과 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釜山民主公園)은 4·19 혁명부마민주항쟁, 6월 항쟁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부산 시민의 숭고한 민주 희생 정신을 기리고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부산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공간으로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안에 만든 공원이다

옥상 전망대에서 본 황령산 아래의 도신과 충혼탑

대한독립운동에서 돌아가신 선조들의 위패

이바구길 168계단 모노레일 상부 승하차장

모노레일 안에서 본 주변 풍광

 

모노레일 하부 승하차장

하부 승하차장의 외관과 올라가는 모노레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