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화는 수선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한국과 일본이 원산지이나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의 정원이나 화분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봄철에 비늘줄기 끝에서 잎이 모여나는데 길이 20~30cm,

나비 16~25mm의 선 모양을 하고 있다.

너비가 2.5cm 정도인 잎이 비늘줄기에 모여나지만 여름에 꽃이 나오기 전에 말라 죽은 후.

홍자색의 꽃은 7~8월에 키 60cm 정도의 꽃대가 길게 자라

그 끝에 4~8개의 꽃이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양지바르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라는데 비늘줄기는 주로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고 통증에 효험이 있어  약재로 쓰인다.

개가재무릇이라고도 하는 상사화는잎이 있을 때는 꽃이 없고

꽃이 필 때는 잎이 없으므로 잎은 꽃을 생각하고 꽃은 잎을 생각한다

하여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

 

백련 꽃봉오리와 참나리꽃

 

'생활 사진 > 옥상화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개한 산수유  (0) 2020.03.06
매화꽃은 봄향기를 내 품지만.....  (0) 2020.02.25
봄의 전령 매화개화  (0) 2020.01.31
옥상화단의 늦가을  (0) 2019.11.07
상사화와 문주란  (0) 2019.07.23
온천천의 한여름 꽃  (0) 2019.07.15
옥상정원의 백련화  (0) 2019.07.10
살구 수확  (0) 2019.06.14
아마릴리스와 수녀원 정원의  (0) 2019.05.18
옥상 정원의 봄꽃  (0) 2019.04.10

상사화 相思花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상사화는 개가재무릇이라고도 하며 지방에 따라서는 개난초라고도 한다.   

잎이 있을 때는 꽃이 없고 꽃이 필 때는 잎이 없으므로 잎은 꽃을 생각하고 꽃은 잎을 생각한다 

하여 상사화라는 이름이 붙었다. 

비늘줄기는 지름 4~5cm의 공 모양 또는 넓은 달걀꼴이고 겉은 검은 빛이 도는 짙은 갈색으로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되며,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이른 봄철에 비늘줄기 끝에서  길이 20~30cm, 나비 16~25mm의 잎이 모여나 무성하게 자라다가

꽃줄기가 올라오기 전인 6월 초순경이면 잎이 말라 죽으므로 꽃이 필 무렵에는 살아있는 잎을 볼 

수 없다.

7~8월에 꽃대가 50~60cm로 길게 자라 그 끝에 4~8개의 꽃이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빛깔은 연한 홍자색이고 길이는 9~10cm이다. 

4일 전 꽃대가 올라오기 시작함

07. 31, 꽃대가 50~60cm로 길게 자라 꽃을 피울 준비를 완료함.


08,01, 거의 다 핀  상사화



08. 02, 만개한 상사화



접봉숭이와 백일홍 꽃

무늬가 아름다운 거미가 줄을 치고 먹이 사냥 중.


'생활 사진 > 옥상화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과 산수유꽃  (0) 2018.03.11
2018년 봄소식 --매화와 산수유  (0) 2018.03.02
평화공원 국화전시회  (0) 2017.11.16
옥상정원의 꽃--늦여름에 핀 배꽃, 금관화, 천사의 나팔꽃  (0) 2017.09.30
꽃무릇  (0) 2017.09.16
곰내재 연꽃밭  (0) 2017.07.08
경주 월지 연꽃  (0) 2017.06.27
한 여름 옥상정원에 핀 꽃  (0) 2017.06.22
아마릴리스  (0) 2017.05.27
공작 선인장 꽃 외  (0) 2017.05.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