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레지 (Dog-tooth Violet)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국의 주로 높은 산악지대에서 자란다.


잎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의 끝이 무딘 둔두 또는 예두이며

 길이 6-12cm, 폭 2.5-5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약간 주름이 지고 표면은 녹색 바탕에 자주색 무늬가 있다.

  꽃은 3~4월에  화경(꽃자루)끝에 

길이 10 ~ 25cm 길이의 꽃대가 나오고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꽃잎은 6개이고 피침형이며 길이 5-6㎝, 

폭 5-10mm로서 뒤로 말리고 자주색이이다.

 수술은 6개이며 길이가 서로 같지 않고 

꽃밥은 자주색이며 길이 6-8mm로서 넓은 선형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금정산 계명봉 얼레지 군락지 가는 길에 본 만개한 매화와 개나리꽃


용천사 경내의활짝 핀 홍매화


약간 이른 시기라 꽃봉오리가 앙징맞다.


활짝 핀 얼레지꽃 감상해 보세요.











부지런한 꿀벌이 여기까지 날아들었다.


제비꽃


진달래꽃


현호색


별꽃(?)


금정산 갈맷길 안내도



'생활 사진 > 삶의 흔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종대  (0) 2019.05.02
송정 일출  (0) 2019.04.10
만개한 황령산 벚꽃과 진달래꽃  (0) 2019.04.04
제37회 부산연극제  (0) 2019.03.25
2019년 온천천의 봄  (0) 2019.03.22
태종대  (0) 2019.03.16
황령산 봉수대  (0) 2019.03.16
부산 동래 복천동고분군과 박물관  (0) 2019.03.09
7산회 충렬사, 동래읍성 탐방  (0) 2019.03.08
3.1절 100주년 동래독립만세운동 재현  (0) 2019.03.02

금정산성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금정산 정상부에 있는 조선시대에 돌로 쌓은 산성으로,

낙동강 하구와 동래 일대가 내려다 보이는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고 난 뒤

국방을 튼튼히 하고 바다를 지킬 목적으로 다시 쌓았다.

성벽은 총 연장 17㎞ 정도인데, 해발 801m의 금정산 고당봉에서 서남쪽으로 계곡을 따라 축조되었으며,

동서남북 4곳의 성문과 수구문, 암문 등이 있다.

 

산성의 크기나 축성 방법에서 여러 차례에 걸쳐 축성과 수축, 개축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산성은 1667년(현종 8)에 통제사 이지형()이 금정산성의 보수를 건의한 것으로 보아, 이전에 이미 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증보문헌비고』에는 1701년(숙종 27)∼1703년에 쌓았으며, 성벽의 둘레는 9,011보, 높이가 15척으로, 사방에 성문이 있었다고 하였다.

또한 1740년(영조 16)에 발간된『동래부지()』관해 및 성곽조에는 1707년에 동래부사 한배하()가 너무 넓기에 남북으로 두 구역을 구분하는 중성()을 쌓고 좌기청()·내동헌() 등의 관아 건물과 장대(), 중군소(), 교련청(), 군기고(), 화약고(), 승장소(), 산성창() 등을 세웠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뒤 1806년(순조 6)에는 동래부사 오한원()이 중수하고 동문을 신축하였으며, 서문·남문·북문에 문루를 만들고는 수비군을 배치하였다.

 

당시 성벽의 길이는 32리였으며, 산성 수비는 동래부사가 맡았다고 한다.

1872년(고종 9)에 제작된 규장각 소장「금정산성진지도()」에는 장대가 동서남북 4곳의 대문과 국청사 뒤쪽에 1곳씩 있고, 본성과 중성에 각각 10곳과 2곳 등 총 12곳의 망대()가 있었으며, 그 밖에 수문 3곳, 중성 석문 1곳, 아문() 1곳 등의 성내 시설물이 자리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숙종 이래로 산성 수축공사의 경위를 새긴 금정산성부설비()가 현재 남아 있다.

 

 

 금정산성 동문 입구와 동문

 

 

 

 제4망루 부근의 암벽과 괴석

 

 

 

 

 

 

 

 

 

원효봉 주변에서 본 여러방향의 풍경

산성마을(금성동)

 

머리 보이는 호수가 회동수원지

 

북구 화명동 아파트 단지와 낙동강 화명.대동대교

 

금정구 가까운 건물이 부산외국어대학교

 

  

제4 망루와 왼쪽의 금정산 최고봉인 고당봉과 오른쪽 제2봉인 원효봉

 

 

 

 

 

 

진달래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금정산성 성벽

 

 

 

 금정산 최고봉인 고당봉

 

 

 

 

 

 

금정산성 북문과 고당봉

 

 

 

 

어사 일주문인 조계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