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개화 2

그래도 봄은 옵니다.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혼돈과 머리수 싸움으로 겉잡을 수 없는 국내 정치 사정과는 달리 우리들이 맞는 자연은 환경의 변화 속에서 한치도 어김없이 제 갈 길을 묵묵히 가고 있다. 우수를 지내자 봄의 화신인 매화가 개화를 시작하고 있었다.센텀지하차도 부근의 4거리 모습초고층 아파트일명 '반지교' 로도 불리는수영 3호교 부근의 모습 --- 광안대로의 시작점이기도 하다.광안대교에 쓰인 케이블의 모형광안대로를 건너는유일한 시설인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육교  반지교 옆 수변공원의 매화가 꽃망울을 맺었다.꽃잎 하나가 살포시 꽃잎을 열었다. 수영강 가마우지 섬집 가까운 곳의 작은 카페 앞의 화분에서 매화가 활짝 피고 있었다.

옥상화단의 매화

개화를 준비 중인 옥상화단의 매화 고층 아파트에 가려 오전에 햇볕을 받지 못해 개화가 늦어지는 것 같다. 개화한 매화의 자태가 고고하다. 개화를 위한 꽃봉오리가 맺힌 홍매화 금방이라도 꽃잎을 터뜨릴 것 같은 홍매화 매화와 홍매화의 근접촬영 사진 늦가을에 새잎이 돋아 추위를 이기고 자란 꽃무릇 6월 말쯤 잎이 시들고 30cm 정도의 꽃대에 4-8장의 진분홍 꽃이 피며 작은 상사화라고도 한다. 늦겨울에 새싹이 돋아나는 상사화 무성하게 자란 잎은 6월 말께 말라 죽은 후 7월 말께 60cm 자란 꽃대에 4,6개의 연분홍 꽃이 핀다. 냉방 온실에서 겨울을 지낸 강낭콩이 계속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다. 성장세 좋은 다육식물의 꽃 아름을 알수 없는 다육이의 분홍색 예쁜꽃 산수유 작은 꽃봉오리가 귀엽다. 코로나 1..